오늘은 1950년대 금지된 장르였던 흑인 음악을 알리며 차별과 경계를 뛰어넘어 음악의 위대함을 전파한 백인 DJ 듀이 필립스의 실화를 바탕으로 뮤지컬로 제작한 <멤피스> 작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DJ 듀이 필립스에 대해 알아볼까요?
듀이 필립스 (Dewey Phillips)
듀이 필립스(1926-1968)는 1949년 멤피스의 라디오 쇼 'Red, Hot, and Blue' 진행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50년대 당시만 해도 멤피스의 백인들이 흑인 음악을 듣는 일은 매우 드물었습니다. 그러나 듀이의 쇼에서는 흑인 음악이 많이 나왔고, 그의 방송은 흑백으로 나눈 두 인종의 경계를 허무는 가교 역할을 하였습니다. 덕분에 매일 밤 약 십만 명이 그의 방송을 청취했고 일주일에 3,000여 통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1954년 7월, 그는 젊은 엘비스 프레슬리의 데뷔 음반인 'That's All Right / Blue Moon Of Kentucky'를 최초로 방송하였습니다. 엘비스 프레슬리의 데뷔 음반 수록곡 'That's All Right'를 송출하자 방송에 나온 곡을 문의하는 10대들의 전화가 빗발쳤습니다. 엘리스 프레슬리는 방송 후 메이저 레이블 RCA레코드사와 계약하고 일약 스타로 도약했습니다.
거의 10년 동안 듀이는 멤피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DJ였지만 1958년 WHBQ는 Top40 형식으로 변경하고 듀이가 제한된 재생 목록에 적응하지 못할 것이라고 알고 그를 해고시켰습니다. 그는 인생 마지막 10년은 작은 라디오 방송국에서 일하며 보냈지만 1952년 교통사고로 인한 다리 부상의 만성 통증이 악화되면서 알코올과 약에 의존하게 되었고 그의 삶은 하향곡선을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음주운전으로 반복적으로 체포되었고 망상 증상이 점점 심각해져 정신병원에 입원하였습니다. 결국 듀이는 약물 남용으로 인한 심부전으로 1968년 9월 28일 4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뮤지컬로 제작된 듀이의 이야기, 뮤지컬 <멤피스 (Memphis)>
뮤지컬 멤피스는 브로드웨이 및 영화 제작자 조지 W.조지(George W. George)의 콘셉트를 바탕으로 조 디피에트로(Joe DiPietro)의 책과 가사, 전설적인 록밴드 본조비의 작곡가 데이비드 브라이언(David Bryan)의 음악으로 구성되어 제작되었습니다.
2009년 10월 19일부터 2012년 8월 5일까지 브로드웨이에서 상영되었으며 보스턴, 매사추세츠 주 비벌리, 캘리포니아 등에서 상연되었습니다.
뮤지컬 멤피스는 최우수 뮤지컬, 최우수 작곡상, 최우수 편곡상, 최우수 책(Joe DiPietro) 부문으로 4개의 토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뮤지컬 <멤피스> 줄거리
차별과 갈등이 만연하던 1950년대 미국 남부 테네시주 멤피스. '흑인 음악'으로 여겨진 로큰롤에 심취해 있던 백인 청년 휴이는 어느 날 흑인 구역인 빌스트리트에 있는 언더그라운드 클럽을 방문합니다. 그곳에서 클럽 주인인 델레이의 여동생, 펠리샤의 노래를 듣고 그녀와 그들의 이야기를 널리 알리겠다고 결심합니다.
이후 휴이는 방송국 DJ로 지원하기 시작하지만 모두 거절당하고, 그러던 중 백인 전용 라디오 방송국인 WHDZ를 방문한 휴이는 DJ가 잠시 떠난 사이 부스에 잠입하여 로큰롤을 전파시킵니다. 대형사고였지만 음악에 매료된 10대들의 전화가 방송국으로 빗발치고 WHDZ 사장 시몬스는 휴이에게 2주간의 트라이아웃 기간을 줍니다.
한편 사회적 장벽과 편견을 가진 그의 어머니, 과잉보호하는 펠리샤의 오빠 델레이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휴이와 펠리샤는 서로 사랑에 빠집니다. 휴이의 경력이 쌓이면서 그들의 관계는 개인적인 야망과 그들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 없는 외부 세계의 압박에 의해 도전을 받습니다.
DJ 듀이 필립시의 실화를 바탕으로 제작된 뮤지컬 <멤피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뮤지컬 <멤피스>는 브로드웨이, 웨스트엔드를 거쳐 일본, 호주 등 세계적인 무대에서 호평을 받았고 이번 2023년 7월 2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충무아트센터 대극장에서 초연될 예정입니다. 유쾌하면서도 감동적인 뮤지컬 <멤피스>의 한국 초연을 관람해 보세요!
'티켓벨이 들려주는 공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발레단 '해적'의 원작, 조지 고든 바이런의 해적 살펴보기 (0) | 2023.07.18 |
---|---|
오이디푸스 신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연극 '테베랜드' (0) | 2023.07.17 |
푸치니가 남긴 최후의 명작, 오페라 '투란도트'의 모티브 공주, 스토리, 영화 살펴보기 (0) | 2023.07.11 |
동화 작가 한스 안데르센의 삶을 다룬 뮤지컬 '신의 손가락' (0) | 2023.07.10 |
사진신부 이야기, 뮤지컬 '알로하, 나의 엄마들' 원작, 관련 작품 살펴보기 (1) | 2023.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