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벨이 들려주는 공연이야기 32

조르주 비제의 걸작 오페라 '카르멘'의 원작, 오페라와 차이 살펴보기

오늘은 프랑스 작곡가 '조르주 비제'의 명작 오페라 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오페라 은 프로스페르 메리메(P. Merimee)의 동명 소설을 오페라로 제작한 작품입니다.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카르멘』 『카르멘』은 프랑스의 19세기 소설가이자 역사학인 프로스페르 메리메(1803~1870)가 1845년 발표한 중편소설입니다. 프로스페르 메리메는 문화재 총감독관으로 일하면서 임기 동안 프랑스 국내와 이탈리아, 그리스, 스페인 등 각지를 순방하였는데 『카르멘』은 메리메의 스페인 여행 경험을 토대로 쓰였습니다. 하지만 발표 당시 불경한 내용이라는 비난과 혹평을 받았습니다. ​ 총 4장으로 구성된 이 소설은 1845년의 원본 간행물에서는 처음 3장만 등장했습니다. 마지막 4장은 1846년 책 출판물에 등장하는..

일본 최고의 어린이 동화, 뮤지컬 '폭풍우 치는 밤에' 원작, 영화 소개

오늘은 일본의 해리포터라고 불리는 기무라 유우치의 『폭풍우 치는 밤에 (あらしのよるに)』을 원작으로 제작한 뮤지컬 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기무라 유이치(きむら ゆういち) 기무라 유이치는 1948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습니다. 다마 미술대학을 졸업 후 텔레비전 유아 프로그램 아이디어 구성작가를 거쳐 그림책을 집필하면서 오페라와 연극 각본을 쓰는 등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림책 『폭풍우 치는 밤에』로 1995년 산케이 아동 출판 문학상과 고단샤 출판 문화상 그림책을 수상하였고, 2000년에는 초등학교 4학년 일어 교과서에 게재되었습니다. 2020년 7월까지 일본에서 670편의 작품, 해외에서는 310편의 작품을 넘어 수많은 베스트셀러가 국내외 어린이들에게 읽혀지고 있습니다. 기무라 유이치의 『폭..

역동적이고 박진감이 넘치는 뮤지컬 '벤허' 의 원작, 영화, 드라마 살펴보기

오늘은 루 월스가 1880년에 발표하여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한 소설 『벤허』를 원작으로 뮤지컬로 제작한 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뮤지컬의 원작 소설부터 살펴볼까요? 변호사이자 장군, 정치자이자 작가였던 '루 월리스' 루 월리스(1827-1905)는 미국의 변호사, 미국 남북전쟁 당시 연합군 장군, 정치가이자 인디애나 출신의 작가입니다. 법학을 전공하던 루 월리스는 멕시코 전쟁에 지원하여 군복무하였으며, 남북 전쟁기간에는 육군 소장으로서 북군을 지휘하였습니다. 이후 변호사로서 법률 활동, 뉴멕시코의 주지사(1878-1881), 오스만 제국의 미국 장관(1881-1885)으로 재직하였습니다. 은퇴 후 그는 인디애나주로 돌아와 1905년 사망할 때까지 계속 글을 집필하였습니다. 루 월리스의 『벤허..

독립운동가 양우조·최선화 부부의 좌충우돌 육아일기 뮤지컬 '제시의 일기'

오늘은 독립운동가 양우조, 최선화 부부가 번갈아 가며 쓴 육아일기를 바탕으로 제작한 뮤지컬 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양우조·최선화 부부가 쓴 좌충우돌 육아일기, 『제시의 일기』 『제시의 일기』는 독립운동가 양우조와 최선화 부부가 직접 지은 제목으로, 첫째 딸 제시를 낳아 8년간 쓴 육아일기로 이들의 손녀이자 제시의 딸인 김현주 씨가 할머니로부터 전해받은 일기장의 내용을 정리하여 1999년 책으로 출판하였습니다. ​ 일기는 정확히 1938년 7월 4일부터 1946년 5월 4일까지 쓰여있습니다. 『제시의 일기』는 제시의 성장 모습과 가족사를 중심으로 한 육아 기록이지만,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일본 공군기의 공습을 받으며 광주, 유주, 기강을 거쳐 중경으로 이동한 과정과 당시의 실상이 낱낱이 기록되어 있어..

그리스의 비극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연극 '이 불안한 집'

오늘은 영국의 극작가 지니 해리스가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비극의 창조자 '아이스킬로스' 아이스킬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대표적인 비극 작가입니다. 귀족 가문에서 태어나 형과 함께 B.C 491년의 페르시아 전쟁에도 참가하였지만, 안타깝게도 그의 형은 전쟁에서 전사하였습니다. B.C 499년 24세의 나이로 비극 경연 대회에 처음 참가하였지만, 484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첫 승리를 이루었습니다. 그는 생애 약 90편의 비극을 쓴 것으로 전해지나 현존하는 비극은 일곱 편뿐입니다. 아이스킬로스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 『오레스테이아 3부작』은 아이스킬로스의 여러 작품 중에서도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입니다. 『오레스테이아 3부작』은..

세계 최초 뮤지컬로 제작된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의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

오늘은 스페인 희곡의 거장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의 『타오르는 어둠 속에서』을 바탕으로 제작한 뮤지컬 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Antonio Buero Vallejo) 스페인 극작가인 안토니오 부에로 바예호는 스페인에서 가장 높은 문학 상인 미겔 데 세르반테스 상에서부터 국립문학상, 마리아 롤란드상 등 수많은 상을 수상한 스페인 희곡의 거장입니다. ​ 부에로는 어려서부터 책을 읽고 글 쓰는 것을 좋아했으며 그림에도 소질을 보였습니다. 화가가 되고 싶었던 그는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마드리드의 베야스 아르테스 학교에 진학하여 예술과 회화를 공부했지만, 내전이 터지면서 스페인 공산당에 입당하였고 공화군에서 복무했습니다. ​ 전쟁이 끝나고 정권을 잡은 반란군에 의해 공산당을 위해..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의 불꽃같은 삶을 담은 창작뮤지컬 '22년 2개월' 줄거리, 생애, 영화 등

오늘은 박열과 그의 동반자인 가네코 후미코의 불꽃같은 삶을 다룬 창작뮤지컬 에 대해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먼저 박열과 가네코 후미코에 대해 살펴볼까요? 조선의 아나키스트이자 독립운동가인 '박열' 경상북도 문경에서 태어난 박열(1902-1974)은 집에서 멀리 떨어진 함창공립보통학교에서 공부를 하였고 졸업 후 경성고등보통학교 사범과에 진학하였지만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일본인이 세운 학교에 다니는 치욕을 견딜 수 없다며 학업을 포기하고 고향으로 돌아왔습니다. ​ 고향 문경에 돌아온 이후 친구들과 함께 태극기와 격문을 살포하는 등 만세시위운동에 참여했지만, 국내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힘들다는 판단 아래 18세에 일본 동경으로 건너갔습니다. 사회주의자와 무정부주의자들과 교류하면서 1921년 첫 사..

뮤지컬 '레베카'의 원작 소설, 영화, 공연 살펴보기

뮤지컬 공연은 보지 않았더라도 옥주현이 부르는 레베카 노래는 한 번쯤 들어본 적이 있으실 텐데요, 오늘은 2013년 국내 초연 이후 10년을 맞이한 뮤지컬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세스펜스의 여왕, 대프니 듀 모리에((Daphne du Maurier) '서스펜스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대프니 듀 모리에(1907-1989)는 20세기 영국의 가장 대중적인 작가 중 한 명입니다. 그녀는 저명한 배우이자 감독인 아버지 제럴드 듀 모리에와 배우였던 어머니 뮤리얼 보몬트의 사이에서 세 자매의 차녀로 태어났으며 그녀의 할아버지는 유명한 풍자 만화가이자 소설가인 조지 듀모리에로 저명한 예술가 집안에서 태어나 어릴 때부터 책 읽기와 글쓰기에 몰두하며 성장하였습니다. 런던과 파리에서 교육을 받은 대프니는 1931년 첫..

세 가지 발레를 한자리에서 만나는 국립발레단의 '트리플 빌'

오늘은 국립발렌단의 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은 세계적인 안무가들의 춤과 클래식 음악의 거장들의 음악이 만나 아름다움 협연을 선보이는 작품으로 세 가지 발레를 한자리에서 관람하실 수 있습니다. 안무가 '에드워드 클러'와 '쇼팽'의 음악이 협연된 2012년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이 초연한 는 6명의 남녀 무용수로 이뤄진 세 커플이 쇼팽의 '녹턴' 연주에 맞춰 춤을 춥니다. 무대 뒤편에는 약 170개의 의자와 피아노 의자가 설치되어 있고 무용수들은 의자에 앉아 관객과 마주 보는 형태로 동료의 춤을 감상하기도 합니다. ​ 작품 제목인 는 '고요함'과 '조용히 합시다'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밤이 되고 모든 것이 조용해진 시간에 우리가 평소 듣지 못했던 다른 소리, 즉 우리 마음의 소리와 감정의 리듬은 크게 ..

국립발레단 '해적'의 원작, 조지 고든 바이런의 해적 살펴보기

오늘은 국립발레단의 공연 '해적'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은 영국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이 쓴 극시에 '마리우스 프티파'가 안무를 붙였고, 2020년 국립발레단의 안무가 '송정빈'이 원작을 재해석한 버전을 선보인 작품입니다. 먼저 조지 고든 바이런에 대해 알아볼까요? 영국의 시인, 조지 고든 바이런(George Gordon Byron) 영국의 철학가이자 작가로 낭만주의 문학을 선도한 조지 고든 바이런(1788-1824)은 유서 깊은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아버지 잭은 방탕한 생활로 악명 높았으며 바이런이 3살 때 프랑스에서 객사하였습니다. 어린 바이런이 10살 때 직계 상속사가 없는 큰할아버지가 사망하면서 작위와 재산을 물려받아 '바이런 경’이 되었습니다. ​ 1805년 케임브리지의 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