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켓벨이 들려주는 공연이야기

뮤지컬 '모차르트!' 소개, 모차르트의 생애, 영화 살펴보기

Ticket Bell 2023. 6. 26. 18:25

오늘은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의 이야기를 담은 뮤지컬 <모차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뮤지컬 <모차르트!>
이미지 출처: viennaclassic

뮤지컬 <모차르트!>는 원래 독일어로 쓰여진 오스트리아 뮤지컬입니다. 원작과 가사는 극작가 미하엘 쿤체(Michael Kunze)가 썼고, 음악과 편곡은 작곡가 실베스터 르베이(Sylvester Levay)가 작곡했습니다. 1999년 10월 오스트리아 빈 극장에서 초연되었으며 이후 독일, 스웨덴, 중국, 일본, 헝가리, 벨기에 등 10개국에서 각기 다른 8개의 언어로 2,400회 이상 공연되어, 250만 명 이상 관람한 스테디셀러 뮤지컬입니다.

이미지 출처: 세종문화회관 홈페이지

뮤지컬 <모차르트!>는 천재 음악가로서 운명과 자유로운 인간이고 싶어하는 내면 속에서 끝없이 갈등하는 모차르트의 고뇌를 담은 이야기로 2010년 한국 초연 당시 세좀문화회관 대극장을 매진시켰으며, 초연 이후 뮤지컬 어워즈 11개 부문 석권 및 세종문화회관에서 최장 기간, 최다 회차 공연을 기록한 흥행작입니다.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819년 모차르트의 초상화 이미지 출처: wikipedia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1756-1791)는 오스트리아의 서양 고전 음악 작곡가입니다. 궁정 음악가였던 아버지 레오폴트 모차르트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는데, 그중 5명은 어린 나이에 죽고 누나 나넬(Nannerl)만이 남아있었습니다.


세 살 때부터 누나를 보고 스스로 건반을 다루고 연주하는 법은 터득하며 천재성을 발휘한 볼프강을 보고, 아버지 레오폴트는 아들의 재주를 알아보고 볼프강에게 직접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가르쳤습니다.

연주 여행중인 모차르트 가족 (레오폴트, 볼프강, 나넬) / 1780년대 모차르트 가족의 초상화, (벽의 초상화는 모차르트의 어머니) 이미지 출처: wikipedia

아버지 레오폴트는 6세인 볼프강과 나넬을 뮌헨으로 데려가면서 거의 10년간을 유럽 각지로 연주 여행을 다녔는데 이때 얻은 음악적 체험과 음악가들과의 교제 활동은 볼프강에게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아버지는 볼프강을 빈의 궁정악단에 취직시키려 했지만 실패하고, 볼프강은 고향 잘츠부르크에서 궁정 음악가로 활동하게 됩니다. 하지만 그의 자유분방한 성격은 궁정과 여러 갈등을 일으켰고, 결국 대주교와의 불화를 계기로 1781년 빈으로 떠나게 됩니다.

막 결혼한 콘스탄체와 볼프강의 엽서 / 1783년에 제작된 콘스탄체의 목탄 그림&amp;nbsp;이미지 출처: wikipedia

볼프강은 빈에서 콘스탄체(Constanze)를 만나 사랑에 빠져 아버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782년 두 사람은 결혼합니다.

1787년 황제 요제프 2세가 궁중 작곡가로 볼프강을 고용하면서 볼프강은 안정된 수입을 얻지만 씀씀이가 컸던 그는 항상 돈을 빌리는 신세를 면치 못했습니다. 1788년 오스트리아와 터키의 전쟁으로 빈에 경제 불황이 닥치면서 연주회들이 최소 되어 빈의 음악가들은 어려워지게 되고 볼프강의 생활도 악화됩니다. 곤궁해진 볼프강은 새로운 일을 찾아 뮌헨, 베를린 등으로 여행을 떠나야 했습니다.

1791년 볼프강은 한 익명의 후원자로부터 레퀴엠 작곡을 의뢰받지만 레퀴엠을 완성하지 못하고 그해 겨울 35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합니다. 볼프강의 죽음에 대해서 사인이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모차르트의 레퀴엠 악보 첫 페이지 이미지 출처: wikipedia

미완성이었던 레퀴엠은 세상을 떠난 모차르트가 남긴 스케치를 토대로 그의 제자였던 쥐스마이어가 작품을 완성하였으며, 수많은 레퀴엠 중 가장 대중적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모차르트와 관련된 영화들
모차르트의 천재적 재능을 보여주는 영화 <아마데우스 (Amadeus)>
영화 &amp;lt;아마데우스&amp;gt; 포스터 / 살리에르와 모차르트 이미지 출처: wikipedia, youtube

피터 섀퍼가 1979년 발표된 동명의 희곡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영화 <아마데우스>는 18세기 후반 오스트리아 빈을 배경으로 황제 요제프 2세의 궁정에서 모차르트와 그의 천재적 재능을 시기한 궁중음악가 안토니오 살리에르의 이야기를 그렸습니다. 개봉 후 전세계적으로 흥행에 성공했으며, 아카데미상 최우수상을 포함하여 53개의 상 후보에 올랐고 40개의 상을 받았습니다. 2019년에는 '문화적, 역사적, 미적 중요성'으로 미국 국립영화등기부에 등재되었습니다.

모차르트의 누이 이야기 <나넬 모차르트(Mozart's Sister)>
영화 &amp;lt;나넬 모차르트&amp;gt; 포스터 / 영화 속 나넬 작곡 모습 이미지 출처: wikipedia,&amp;nbsp;Mozart's Sister (2011) HD Movie Trailer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가졌지만 동생 모차르트의 그늘에 가려져 재능을 펼치지 못한 모차르트의 누나 나넬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영화 <나넬 모차르트>입니다. 동생 모차르트의 조력사 역할을 하기 바라는 아버지 때문에 자신의 음악적 열정을 조심스럽게 불태워야 했던 나넬의 꿈과 도전을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는 나넬의 초기 생에 대한 이야기로 아버지와 동생 모차르트와 함께 유럽 순회 여행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모차르트의 누나 '나넬'에 대해 잠깐 살펴볼까요?

마리아 안나 발부르가 이그나티아 모차르트 (Maria Anna Walburga Ignatia Mozar)
1785년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의 초상화 이미지 출처: wikipedia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1751-1829)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누나로 평소 마리아네(Marianne)라고 불리었으며 나넬(Nannerl)이라는 별명으로 자주 불렸습니다. 
 
일곱 살 때부터 아버지 레오폴트에게 하프시코드를 배웠고, 아버지와 남동생인 모차르트와 함께 비엔나와 파리 등 많은 도시로 연주 투어를 다녔습니다. 결혼 적령기에 들어서자 1769년부터는 더 이상 모차르트와 함께 여행을 다니며 자신의 예술적 재능을 선보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마리아네는 잘츠부르크에서 어머니와 함께 집에 머물렀습니다. 
 
마리아네가 작곡을 했다는 사실은 그녀의 작품을 칭찬하는 볼프강의 편지 등에서 그 증거를 찾을 수 있지만, 아버지 레오폴트가 남긴 방대한 서신 중에는 그녀의 작곡에 대해 전혀 언급되지 않았으며,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그녀의 작품이 없습니다. 
 
진로와 배우자 선택에 대해 아버지의 뜻을 따르지 않았던 볼프강과는 달리 마리아네는 아버지와 좋은 관계를 유지했습니다. 1783년 여름즈음 그녀는 육군 대위이자 개인 교사였던 프란츠 디폴드와 관계를 발전시켰지만, 결혼으로 발전하지는 않았습니다. 

1780년경 마리아네의 남편 Johann Baptist Franz von Berchtold zu Sonnenburg 출처: wikipedia

1784년 마리아네는 15살 연상의 치안판사 베르히톨트(Berchtold)와 결혼하여 오스트리아의 한 마을인 세인트 길겐(St. Gilgen)에 정착하였습니다. 남편 베르히톨트는 두 번의 이전 결혼에서 다섯 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고, 마리아네는 이들을 맡아 길렸습니다. 마리아네 또한 결혼 후 세 자녀를 낳았고, 결혼 후에도 계속해서 피아노를 연습하고 가르쳤습니다. 
 
1801년 남편이 죽자 마리아네는 아이들과 함께 잘츠부르크로 돌아와서 계속해서 학생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쳤습니다. 말년에 그녀의 건강은 쇠퇴하고 1825년 시력을 잃게 됩니다. 마리아네는 1829년 78세로 나이로 세상을 떠나 잘츠부르크의 묘지에 묻혔습니다. 


오늘은 천재음악가 모차르트의 생애를 작품으로 만든 뮤지컬 <모차르트!>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동생 볼프강의 그늘에 가려 음악적 재능을 펼치지 못한 나넬의 이야기와 모차르트의 음악적 재능을 시기한 궁중음악가 살리에르의 이야기도 흥미롭네요. 천재 음악가 '모차르트'를 뮤지컬과 영화로 만나보세요!


[ 자료 출처]

위키백과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마리아 안나 모차르트, 아마데우스